1) 연계 요구사항 분석

연계 요구사항 분석이란?

서로 다른 두 시스템·장치·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하는 연계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식별되고 시스템 구성도,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등을 참고함.

- 분석 기법 : 인터뷰 / 체크리스트 / 설문지 / 델파이 기법 / 브레인스토밍 등

- 분석 참고 문서 : 코드 정의서 / 테이블 정의서 /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 시스템 구성도 등

 

연계 요구사항 분석 참고문서

- 개체 정의서 : DB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 논리 DB명 / 엔티티명 / 엔티티 설명 / 주식별자 / 슈퍼타입 엔티티명

 

- 테이블 정의서 :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 인덱스, 업무 규칙을 문서화한 것. 컬럼의 특성은 컬럼명, 데이터 타입, 길이, 널값 여부, 키값 여부, 디폴트 값 등을 의미.

 

- 인터페이스(연계) 명세서 : 인터페이스(연계) 정의서에 장성한 인터페이스 ID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길이 등 인터페이스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

 

- 인터페이스 명세서 구성요소 : 송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방식, 주기 등을 기록한 현황. 인터페이스 ID / 최대 처리 횟수 / 데이터 크기(평균/최대) / 시스템 정보 / 데이터 정보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시스템 현황 확인 -> 정의서 확인 -> 체크리스트 적상 -> 인터뷰 및 면담 ->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1. 시스템 현황 확인 : 송수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네트워크 현황 확인.

2. 정의서 확인 : 송수신 시스템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데이터 관련 테이블 정의서 및 코드 정의서 확인.

3. 체크리스트 작성 : 질의 사항을 시스템 관점과 응용 관점에서 연계 분석 체크리스트 작성.

4. 인터뷰 및 면담 :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수행하고 회의록 작성.

5.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 연계 시스템 구성 및 데이터 식별에 해당하는 내용에 요구사항 ID를 부여하고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연계 시스템의 구성

연계 시스템은 송수신시스템으로 구성. 연계 방식에 따라 중계 서버를 둘 수 있음.

- 송신 시스템 : 연계할 데이터를 DB와 App으로부터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시스템.

- 수신 시스템 : 수신한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DB에 저장하거나 App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 중계 서버 :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연계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연계 데이터의 보안 강화 및 다중 플랫폼 지원 등 가능.

 

2)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연계 데이터 식별 정보

- 대내외 구분 정보 / 기관명 / 시스템 ID / 한글명 / 영문명 / 시스템 설명 / 시스템 위치 / 네트워크 특성 / 전용 회선 정보 / IP 및 URL / Port / Login / DB정보 / 담당자 정보

 

연계 데이터 표준화

인터페이스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는 규격화된 표준 형식을 정의하여 사용.

인터페이스 설계 단계에서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표준 항목과 업무처리 데이터, 공통 코드 정보 등을 누락 없이 식별하고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작성.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표준

-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을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 송수신 시스템에서 업무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 : 전송 데이터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종료 표시

 

송수신 전문 구성

- 전문 공통부(고정) => 전문 길이(10Byte) / 시스템 공통(246Byte) / 거래 공통(256Byte)

- 전문 개별부(가변) => 데이터

- 전문 종료부(고정) => 전문 종료(2Byte)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 연계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 -> 연계 데이터 표현 방법 정의 -> 연계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 내외부 연계 모듈 구현  (1) 2022.09.14
4.2 연계 메커니즘 구성  (0) 2022.09.14
3.3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하기  (0) 2022.09.14
3.2 물리 데이터 저장소 설계  (0) 2022.09.13
3.1 데이터 모델  (0) 2022.09.13

+ Recent posts